혼돈과질서, 쓰기의 공간
[라플라스의 악마, 철학을 묻다] 1장. 미래는 결정되어 있을까? 본문
2021.08.21 수정1
수정2
수정3
생각 다지기
1. 라플라스의 악마 사고실험은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
라플라스의 악마 사고실험은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말하려고 한다.한 인간의 행동이 악마의 조종에 의해 미리 결정된 대로 이루어진다면, 그 때 개인의 자유의지는 허상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2. 결정론은 어떤 이론이며 그 이론이 옳다고 생각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결정론은 모든 것들이 원인과 결과로 결정되어 있다는 이론이다.
마치 당구대에서 당구 큐대로 공을 맞추면
3. 결정론과 운명론은 어떻게 다른가?
결정론은 모든 것이 결정되어 있지만 그 속에서 다른 선택의 여지를 포함한다.
이에 반해 운명론은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이 하나의 선택만 가능해 체념과 순응의 태도를 가지게 된다.
4. 양자역학은 결정론에 대한 반론이 되는가?
양자역학은 결정론에 대한 반론이 된다.
모든 것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입자가 움직여 어떤 물질과 상태가 되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그렇게 될 확률이 크기 때문이라고 본다.
5. 자유의지가 없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자유의지가 없으면 인간이 인간답게 느끼지 못하게 된다.
결정론이 옳다고 하더라고 인간은 매순간 자유의지가 있다고 느끼고 있다.
6. 왜 자유의지와 결정론은 양립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가?
ㅇ
7. 흄은 어떻게 해서 자유의지와 결정론을 양립 가능하게 하였고, 흄의 그런 시도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ㅇㅇㅇ
8. 자유의지와 결정론을 양립 가능하게 하는 다른 시도는 어떤 것이 있고, 거기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자유의지와 결정론을 양립 가능하게 하는 다른 시도로는 '1차 욕구와 2차 욕구의 구분'이 있다.
생각 키우기
1. 결정론이 옳고 자유의지가 없다는 것이 사실로 드러났을 때 우리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지 고민해보자. 그리고 그때 칭찬과 처벌을 정당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도 생각해보자.
ㅇㅇㅇ
2. 지금의 나는 집안 환경과 교육 환경에 의해 상당 부분 결정되었다고 한다면, 나의 행동은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을까?
ㅇㅇㅇ
3. 미래에 인간의 행동과 구분할 수 없는 로봇이 등장한다고 하자. 그 로솝은 인간처럼 스스로 결정해서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로봇은 진정으로 자유의지로 행동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또 자유의지가 없다고 한다면 무슨 문제가 있을까?
ㅇㅇㅇ
4. 결정론과 자유의지를 양립 가능하게 하려는 흄의 시도나, 1차 욕구와 2차 욕구의 구분에 의해 양립 가능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반론으로부터 살실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생각해보자.
ㅇㅇㅇ
'ㅁㅁㅁ > JB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동성알바 중 기침과 관련된 감정일기 (1) | 2022.04.03 |
---|---|
[라플라스의 악마, 철학을 묻다] 2장. 나는 왜 나일까? (0) | 2021.08.27 |